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완전탐색
- java
- 인텔리제이단축키
- 백준피보나치
- 알고리즘공부
- 백준팩토리얼
- dfs
- 백준피보나치수
- intelliJ단축키
- 프로그래머스해쉬
- 프로그래머스N으로표현
- C++
- 자바
- 백준팩토리얼자바
- 프로그래머스자바
- 백준벌집
- 백준하노이탑
- 알고리즘
- 인텔리제이테스트클래스생성
- 백준
- 테스트클래스생성단축키
- 카카오코딩연습
- 프로그래머스
- 코딩연습
- 프로그래머스전화번호목록
- 스프링부트와 AWS로혼자구현하는웹서비스
- 전화번호목록자바
- 프로그래머스JAVA
- 프로그래머스완주하지못한선수
- springboot
- Today
- Total
말랑말랑
[프로그래머스] K번째 수 본문
[2020-09-14]
자바 공부를 하면서 틈나는 시간에 알고리즘을 풀어봤다
프로그래머스가 문제 수준도 다양하고
스토리 있는 문제가 많아서 해석하며 푸는 재미가 있다
K번째 수
문제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 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 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 제한사항
|
입출력 예
array | commands | return |
[1, 5, 2, 6, 3, 7, 4] | 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 | [5, 6, 3] |
입출력 예 설명
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Northern Eurasia Contests
Northwestern Russia Regional Contest Information Host city: St Petersburg Host universities: St Petersburg ITMO University,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Participants Participating regions: the Archangel Region, the Republic of Karelia, the Leningrad Regi
neerc.ifmo.ru
풀이
import java.util.Arrays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ay, int[][] commands) {
int[] answer = new int[commands.length];
for(int i=0; i<commands.length ; i++) { // 한번 돌때마다 값 한번 찾음
// 헷갈리니까 이해하기 쉽게 변수로 담아두기
int startIndex = commands[i][0]-1; // 1
int endIndex = commands[i][1];
int pick = commands[i][2] - 1; // -1을 한 이유는 인덱스로 활용하기 위해서
// 1. 분리해서 다른 배열에 넣기(정렬 하기 위함), 원본 훼손X
System.out.printf("%d, %d", commands[i][0],commands[i][1]);
int[] newArr = Arrays.copyOfRange(array, startIndex, endIndex);
// 2. 정렬
Arrays.sort(newArr);
answer[i] = newArr[pick]; // cmd의 [i]번째의 두번째 원소가 갯수인데 배열은 index 형식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-1해줌
}
return answer;
}
}
처음엔 Arrays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배열을 수동으로 복사하고 버블정렬로 했었는데
Arrays.copyOfRange()와 Arrays.sort()라는 아주 좋은 메소드를 찾아서 수정했다.
C++만 하다가 자바로 넘어오니 자바에는 기본 지원 되는 기능들이 많아 되게 편리한듯.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여행경로 (0) | 2021.06.04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두 개 뽑아서 더하기 (0) | 2021.04.07 |
[프로그래머스] 완주하지 못한 선수 (0) | 2021.04.06 |
[프로그래머스] 크레인 인형뽑기 (0) | 2020.09.21 |
[프로그래머스] 시저 암호 (0) | 2020.09.21 |